Đức Chúa Jêsus Christ

Phiên bản vào lúc 05:36, ngày 1 tháng 8 năm 2023 của Pyc1948 (thảo luận | đóng góp)

빌라도 앞에 선 예수 그리스도. Mihály Munkácsy(1844–1900) 作. 예수 그리스도(Jesus Christ)는 근본 하나님으로, 인류 구원을 위해 2000년 전 성육신하여 십자가에서 희생하신 구원자다.[1] 30세에 침례를 받은 이후 3년여 공생애 기간 동안 천국 복음을 전파하며 새 언약 제도를 세우셨다. 당대 유대인들과 종교 지도자들에게 배척당하다가 죄 사함과 영생이 담긴 새 언약 유월절을 세우신 그날 밤 무리에게 잡히시고, 다음 날 십자가에서 운명하셨다. 이후 사흘 만에 부활해 제자들에게 천국 복음을 전파하라는 사명을 맡기고 40일 후 승천하셨다. 예수님의 모든 생애는 성경 예언의 성취 과정이었고 인류를 위한 희생과 사랑이었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흘린 희생의 보혈은 인류가 죄를 씻고 천국으로 나아가는 구원의 길을 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뜻

예수 그리스도는 '구원자 예수'라는 뜻으로, 이스라엘의 인명(人名) 중 하나인 '예수'라는 고유 명사와 '기름 부음 받은 자' 즉 구원자를 뜻하는 '그리스도'라는 단어가 결합된 호칭이다. '예수(Jesus)'는 히브리어로 '예호슈아(יְהוֹשֻׁעַַ)'인데 '여호와께서 구원하신다'는 의미를 가진다. 예슈아(יֵשׁוּעַ) 등으로도 쓰인다. 그리스도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의 헬라어 크리스토스(Χριστός)이며 '기름 붓다'라는 뜻의 헬라어 동사 크리오(χρίω)에서 유래했다.[2] 그리스도와 동의어인 메시아 역시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을 가진다. 히브리어 마쉬아흐(מָשִׁיחַ)에 해당하는 아람어인데 마쉬아흐는 '기름을 붓다'라는 뜻의 동사 마솨흐(מָשַׁח)에서 파생됐다.[3][4][5]

모습과 생활 환경

섬네일 |250x250px| 요셉의 작업장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 Matteo Pagano 作. 오늘날, 예수 그리스도의 외모는 예술 작품이나 매체를 통해 대개 수려하고, 신비한 모습으로 묘사된다.[6][7] 하지만 성경에 기록된 예수님의 모습은 지극히 평범했다.[8][9] '예수'라는 이름은 당시 유대인 가운데서 비교적 흔한 이름이었으며[10] 예수님의 생활과 환경도 사람들이 경외할 만한 조건이 아니었다. 흠모할 것이 없는 외모의 예수님은 육적 가족과 목수라는 직업을 가졌고, 일상적인 의식주를 행하셨다. 때로는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드시거나 천대받는 부류와 함께하기도 하셨다.[11][12][13] 이러한 육신적 측면은 당대 종교 지도자들과 유대인들에게 예수님을 배척할 명분이 되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섬네일| 250픽셀|이사야서에는 하나님이 아기로 탄생하신다는 예언이 있다. 18세기경 작품. 작자 미상. 예수님의 생애는 탄생부터 십자가에 운명하시기까지 고난의 연속이었다. 탄생 시에 헤롯왕으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았고,[14] 30세에 침례 받은 후에는 마귀의 시험이 찾아왔다.[15] 이후 천국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에서는 '사람'의 모습이라는 이유로 사람들에게 배척을 당하셨다.[16] 새 언약 유월절을 세우신 그날 밤에는 제자 가룟 유다에게 배신을 당했다.[17] 군병들에게 체포되어 공회 앞에 끌려가신 예수님은 희롱과 모욕, 처참한 채찍질과 고문을 당하신 뒤 십자가에 못 박히셨다.[18] 당신의 살과 피를 주시는 새 언약 유월절의 언약을 십자가에서 이루신 것이다.[19] 이후 사흘 만에 부활한 예수님은 승천 전, 제자들에게 복음 전파의 사명을 허락하셨다.[20][21] 극한의 희생과 처절한 고난으로 점철된 예수님의 생애는 초대교회에 부흥의 역사를 일으키고, 인류에게 구원의 빛을 비추었다.

탄생

예수님의 탄생은 구약성경의 예언대로 이루어졌다. 기원전 700년경에 기록된 이사야미가의 예언에 따라 예수님은 처녀인 마리아에게 성령으로 잉태되어 베들레헴의 한 마구간에서 탄생하셨다.[22][23] 당시 동방박사들로부터 그리스도의 탄생 소식을 들은 헤롯왕은 베들레헴에 사는 두 살 아래의 사내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라 명했으나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예수님은 애굽으로 피신하셨다.[14][24] 구원자의 오심을 아무리 막으려 해도 하나님의 예정된 계획은 바꿀 수 없었던 것이다.[25][26]

공생애의 시작(침례)

예수님의 공생애는 30세에 침례 요한에게 침례를 받으면서 시작된다.[27] 예수님에게 침례를 준 침례 요한은 육체로 오시는 그리스도의 길을 예비하는 엘리야의 사명을 받은 인물이다.[28][29][30] 예수님은 요한에게 침례를 받은 후 광야로 가 40일간 금식기도를 하셨다. 금식기도 후,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셨으나 성경 말씀으로 모든 시험을 단호히 물리치셨다.[15]

천국 복음 전파

섬네일 | 300px |소경을 고치는 그리스도. Eustache Le Sueur 作. 마귀의 시험에서 승리하신 후, 예수님은 천국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하셨다.[31] 병든 백성들을 치유하고 소외된 자들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미셨다. 이른 새벽부터 기도하고, 마을마다 전도를 다닌 예수님은 사람들에게 천국에 이르는 영적 축복을 알려주셨다.[32] 그러나 당대 유대인들과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님의 육적인 면을 거론하며 배척했다. '사람'이 '하나님'이라고 하느냐며 돌을 들어 예수님을 치려 한 사건도 있었다.[16] 심지어는 친족들조차 예수님을 미친 사람으로 취급해 붙잡으려 했다.[33] 멸시와 핍박 속에서도 예수님은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시고 모든 도시와 마을에 두루 다니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셨다.[34]

고난주간(예루살렘 입성-십자가 고난)

'고난주간'은 예수님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한 날로부터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하시기까지의 한 주간을 일컫는다. 고난주간에 예수님은 제자들과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고, 그날 밤에 군병들에게 잡혀 이튿날까지 모진 고초를 겪으신 뒤, 십자가에서 희생하셨다. 선지자 이사야의 예언대로 성취된 예수님의 고난의 행적에는 인류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사랑이 담겨 있다.

예수님의 고난주간 행적
요일 행적 내용
예루살렘 입성 •예수님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35]
•입성 시, 무리들이 길에 옷과 나뭇가지를 깔고,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예수님을 환영.[36]
무화과나무를 저주하고 성전을 깨끗게 하심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 이후 무화과나무가 말라 죽음.[37]
성전에서 장사하는 자들을 책망하시며 내쫓으심.[38]

예언과 비유로 가르치심 종교 지도자들과 논쟁
•논쟁을 걸어온 종교 지도자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그들의 오류를 드러내심.[39]

말세와 재림 예언
•제자들에게 예루살렘 멸망과 재림, 세상 끝의 징조에 대해 알리심.
•말세에 재앙이 일어나고, 거짓 그리스도가 등장할 것을 예언하심.[40]
•재림의 징조에 대해서는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하심.[41]
•종교 지도자들이 예수님을 죽일 방도를 모의하고, 가룟 유다는 그들에게 은화 30개를 받은 후 예수님을 넘길 기회를 엿봄.[42]
마지막 유월절 제자들과 지킨 새 언약 유월절
•예수님이 베드로요한을 보내 유월절을 예비하게 하심.[43]
•유월절 성만찬 전, 제자들의 발을 씻기며 세족예식을 행하심.[44]
•유월절 성만찬 때 당신의 살과 피로 표상된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라 하시며 죄 사함을 언약하심.[19]
•제자 중 하나가 당신을 팔 것과 베드로가 당신을 부인할 것을 예언하심.[45][46]


겟세마네에서 기도 후 체포
•유월절 밤, 겟세마네 언덕에서 임박한 고난을 생각하며 간절히 기도하심. 제자들은 이를 알지 못한 채 잠듦.[47]
•가룟 유다와 함께 온 무리가 예수님을 체포함.[17]
•제자들은 모두 도망가고 예수님은 대제사장 가야바에게 끌려가 심문받고 침 뱉음과 주먹질을 당하심.[48]
•지켜보던 베드로는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하고, 새벽닭 우는 소리에 예수님 말씀이 생각나 심히 통곡함.[49]

십자가 고난 거듭된 심문과 고난
•유월절 다음 날인 무교절 새벽, 대제사장과 장로들이 예수님을 죽이기로 합의하고 총독 빌라도에게로 끌고 가 고발함.[50]
•빌라도가 혐의를 찾지 못해 명절에 죄수 한 명을 석방하는 관례에 따라 예수님을 놓아주려 함. 살인자 바라바와 예수 중 누구를 놓아주기를 원하는지 묻자 군중이 바라바를 놓아주고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침. 빌라도가 십자가형을 언도.[51]
•예수님이 군병들에게 채찍질과 조롱을 당한 후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로 끌려감.[52]

십자가에서 운명
•제3시(오전 9시경), 군병들이 십자가에 예수님의 손과 발을 못 박음. 머리 위에 '유대인의 왕'이라고 적힌 죄패를 붙임.[53]
•십자가에 달려 6시간 동안 고통당하신 예수님은 제9시(오후 3시경)에 "다 이루었다"는 마지막 말씀을 마치고 숨을 거두심.[54]
•운명하시는 순간, 성소의 휘장이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찢어짐.[55]

부자 요셉의 묘에 장례
•요셉이라는 부자가 빌라도에게 청하여 예수님의 시신을 받아 옴. 깨끗한 세마포로 예수님을 싸서 바위 속에 판 새 무덤에 모시고 큰 돌을 굴려 무덤을 막음.[56]

부활과 승천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사흘 만에 부활하셨다. 이후 승천하기 전까지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성경의 예언을 일깨워 주시고 천하 만민에게 복음 전파할 것을 명하셨다.[57][58] 디베랴 바닷가에서는 베드로에게 "내 양을 먹이라"고 하시며 성도들을 돌볼 것을 당부하셨다.[59] 부활한 지 40일째 되는 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 것과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가서 당신의 증인이 되라는 말씀을 남기고 승천하셨다.[21] 예수님의 죽으심에 낙망했던 제자들은 부활, 승천하신 예수님을 통해 견고한 믿음을 확립하게 되었다. 각지에서 그리스도를 담대히 전하면서 초대교회에는 폭발적인 복음의 역사가 일어났다.

성경의 예언

예수님은 성경이 구원자를 증거한다고 말씀하셨다.[60] 당시는 신약성경이 기록되기 전이므로, 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실 때 '성경'이라고 지칭한 것은 구약성경이다. 구약성경에는 예수님이 구원자로 오실 예언들이 있다. 그중 이사야서에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육체를 입고 이 땅에 구원자로 임할 것이 예언되어 있는데 이 예언을 성취한 분이 예수님이다. 그러나 당시 유대인들은 예수님의 육신적인 면만 보고 배척하다가 자신들이 그토록 염원한 메시아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 그러나 사도들은 성경의 예언을 바라보며 예수님을 구원자로 영접했다.

성경이 증거하는 그리스도

섬네일 |324x324px|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과 함께하신 예수님. Adolf Zimmermann(1799–1859) 作. 예수님이 그리스도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증거는 성경의 예언을 성취하신 예수님의 행적이다. 예수님은 탄생부터 십자가 고난 이후까지 모든 성경의 예언을 이루셨다.
예수님은 성경을 통해서 당신이 구원자임을 증거하셨다. 침례 요한이 "오실 이가 당신이오니까?"라고 물었을 때에도 성경의 예언을 들려주셨고,[61]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이 알아보지 못했을 때도 성경으로 당신을 증거하셨다.[57] 요한, 바울사도들도 성경을 통해 그리스도를 확신하고 예수님의 이름을 세상에 선포했다.[62][1]

예수님은 근본 아버지 하나님

예수님은 비록 육체의 모습이나 그 근본은 하나님이시다.[1] 예수님이 곧 아버지 하나님(여호와)이라는 근거는 신구약 성경에 다수 기록돼 있다. 성경을 통해 예수님의 근본을 깨달은 사도들은 육체로 오신 예수님을 하나님이라고 증거했다.[63]
전지전능하며 영광받아야 할 하나님이 굳이 초라한 육체를 입고 이 땅에 임재하신 이유는 인류의 구원을 위해서다. 인류는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이므로,[64] 인류가 죗값으로 치러야 할 죽음을 대신 당하기 위해 하나님이 육체로 오신 것이다. 인류가 죄 사함 받고 영생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예수님이 당신의 보배로운 살과 피로 세워주신 특별법이 바로 새 언약이다. 구약성경에는 여호와 하나님이 죄 사함의 법인 새 언약을 세워주신다고 예언되어 있다.[65]
아래는 예수님이 근본 아버지 하나님임을 증거하는 성경 내용의 일부다.

구분 내용 성구
아버지 하나님 구약성경 이사야서는 아기, 아들로 탄생하시는 구원자가 '전능하신 하나님, 영존하시는 아버지'라고 했다. 예수님이 즉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뜻이다. '아버지'라고 일컬음을 받는 분은 여호와 하나님이다.[66][67] 사 9:6
임마누엘 구약성경에 예언된 임마누엘에 대한 예언은 예수님이 성취하셨다. 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뜻이다. 이는 예수님이 곧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뜻이다. 사 7:14
마 1:19-23
구원자 구약성경에는 여호와 하나님이 유일한 구원자라 기록되었고, 신약성경에는 예수님만이 구원자라고 기록되어 있다. 즉 성부시대의 여호와 하나님이 성자시대의 예수님이라는 의미다. 사 43:11
행 4:11-12
안식일의 주인 구약성경에는 여호와 하나님이 '나의 안식일'이라 하셨고, 신약성경에는 예수님이 안식일의 주인이라 하셨다. 즉 예수님이 안식일의 주인이신 여호와 하나님이라는 뜻이다.

출 31:13
막 2:28

알파와 오메가 헬라어 알파벳 알파와 오메가는 처음과 나중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요한계시록에는 여호와 하나님도, 예수님도 알파와 오메가라고 기록하고 있다. 즉 예수님과 여호와 하나님이 동일한 분이라는 것이다. 계 1:8
계 22:13

하나님이 육체로 오신 이유

  • 인류 구원 위한 대속물
예수님은 당신이 인류의 구원을 위한 대속물이라고 말씀하셨다.[68] 사도 바울은 예수님이 죄인인 인류를 위해 죽으심으로 사랑을 확증하셨다고 했다.[69] 이는 그림자인 구약 율법을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 구약시대, 사람들은 제사 때 자신이 지은 죄를 양이나 염소 같은 짐승의 희생을 통해 죄 사함을 받았다. 그와 마찬가지로 신약시대에는 죄 없으신 예수님이 인류의 죄를 대신해 희생하신 것이다.[70][71] 대표적인 사례가 구약시대 유월절의 어린양의 희생이다. 유월절에 어린양의 살과 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사망을 면한 것처럼,[72] 새 언약 유월절에 언약해 주신 예수님의 살과 피로 인류가 사망을 면하고 영생을 얻게 되었다.[73][74] 예수님은 유월절 날에 떡을 당신의 몸이라, 포도주를 당신의 피라 약속하시며 새 언약을 세우시고 다음 날, 십자가에서 살을 찢기고 피를 흘리며 죽으심으로 언약을 완성하셨다.
  • 새 언약
예수님이 육체로 오셔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생명의 진리인 새 언약을 세워주기 위해서다. 구약성경 예레미야서에는 여호와 하나님이 새 언약을 세우실 것이 예언되어 있는데[65] 이를 성취한 분이 예수님이다. 또한 말라기서에는 여호와 하나님이 언약의 사자로 임할 것이라는 예언이 있고,[75] 이 예언도 새 언약을 세우신 예수님으로 성취되었다. 하나님이 친히 성육신하여, 인류에게 죄 사함과 영생을 주는 새 언약의 제도를 세워주신 것이다.[19]
  • 천국 가는 길 본보이심
예수님은 인류가 볼 수 있는 육체로 오셔서 천국 가는 길을 친히 본보여 주셨다. 예수님의 모든 행적은 인류 구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새 언약 유월절이 대표적이다. 예수님은 죄 없으신 분이지만 인류가 죄 사함을 받을 수 있도록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셨다.[73] 유월절 성만찬 전에는 세족예식을 통해 제자들의 발을 씻기며 섬기셨다.[44] 이에 대해 예수님은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하고 말씀하셨다.[76] 이 외에도 예수님은 죄 사함의 예식인 침례를 받으셨으며,[77] 안식일을 규례로 지키셨고,[78] 기도하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는 등 제자들에게 구원의 길을 본보이셨다.[32] 공생애 기간에 보여주신 모든 행적에는 결국 인류가 그 본을 따라 행함으로 천국에 이르게 하시려는 뜻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이는 하나님이 육체로 오시지 않고는 불가능한 일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

섬네일 |250px|성전에서 가르치는 그리스도. O. A. Stemler and Bess Bruce Cleaveland 作.

예수님은 인류를 천국으로 인도하기 위해 공생애 기간 동안 사랑과 희생으로 가르침을 베푸셨다. 구약시대 희생 제물의 실체로 오신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희생의 피를 흘리심으로써 새 언약의 제도를 완성하셨다. 하늘나라의 가치를 일깨워 천국 소망을 심어주셨으며 하나님이 바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는 사실도 알려주셨다. 근본 하나님이지만 섬김과 겸손의 도를 몸소 본보이셨다. 승천하기 전에는 제자들에게 '복음 전파의 사명'을 남기셨다.

새 언약 제도

새 언약은 신약시대, 예수님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세워주신 생명의 진리다. 구약시대 옛 언약이 그림자라면 새 언약은 그 실체다. 구약시대, 사람들의 죄를 대신해 짐승들이 희생의 피를 흘린 것처럼 신약시대, 희생 제물의 실체인 예수님 또한 인류의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서 희생의 피를 흘리심으로 새 언약 제도를 완성하셨다. 성경에는 예수님이 가르쳐주신 새 언약 절기들이 기록돼 있는데 주간 절기인 안식일과 연간 절기(3차의 7개 절기)인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등이 대표적이다.[78][73][79][80] 그중 새 언약 유월절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운명하기 전날 제자들과 함께 지키신 것으로, 죄 사함과 영생이 약속된 절기다. 이 절기에 담아놓으신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게 된다면 새 언약이 곧 하나님의 사랑이며 사랑은 율법의 완성임을 이해할 수 있다.

  • 새 언약 유월절

섬네일|370px|〈최후의 만찬〉으로 알려진 유월절 성만찬.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의 명화로 잘 알려진 〈최후의 만찬〉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기 전날, 제자들과의 마지막 만찬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이 만찬의 성경적 명칭은 새 언약 유월절이다. 성경은 예수님이 "유월절 지키기를 원하고 원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81] 예수님이 그토록 간절히 원하신 이유는 유월절이 인류의 구원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인류는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인데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 구속받을 수 있다.[64][82][83] 예수님은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를 당신의 살과 피라고 하시며 유월절을 통해 죄 사함과 영생을 약속하셨다.[73][74] 새 언약 유월절 날, 당신의 살과 피를 내어주신다는 말씀은 언약으로만 그치지 않았다. 다음 날,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살을 찢기고, 피를 흘리심으로써 유월절의 언약을 완성하셨다.[84]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 운명하심으로써 인류에게 죄 사함과 구원의 길을 열어주신 것이다.


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 누가복음 22:19-20


  • 새 계명, 사랑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주셨다.[85] 새 계명과 새 언약 유월절은 불가분의 관계다. 이는 새 언약 유월절에 담긴 사랑의 원리를 통해 이해해 볼 수 있다. 예수님은 성도들이 새 언약 유월절로 예수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심으로써 예수님과 한 몸이 되게 하셨다. 성도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가 한 몸이 되는 것이다.[86] 근본 악하여 타인을 사랑할 줄 몰라도, 새 언약 유월절을 지켜 하나 된 성도들은 서로를 자기 몸처럼 사랑하게 된다.

예수님의 살과 예수님의 피를 여러 형제들이 다 같이 먹고 다 예수님 안에서 한 몸이 됨으로 형제들이 서로 자기 몸과 같이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 예수님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있으니 어찌 자기 몸을 미워할 사람이 있겠는가? 우리는 근본 악하기 때문에 사랑할 줄 몰라도 예수님의 살과 예수님의 피가 내 안에 있어서 형제를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 안상홍, "제31장 새 언약의 제도",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6, 210쪽

천국 소망

예수님은 인류가 알지 못하던 천국의 존재와 가치에 대해 가르쳐주셨다. '밭에 감추인 보화', '값진 진주' 등의 비유를 통해 천국 소망을 심어주시고,[87] 산상수훈을 통해서는 천국에 들어갈 자의 자격에 대해 알려주셨다. 천국은 '의를 위해 핍박받은 자',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 등이 들어간다고 하셨다.[88][89] 또한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어 마음을 천국으로 향하게 하라는 가르침도 주셨다.[90] 예수님은 이 땅이 전부인 줄 알고 살아가던 인류에게 사망, 고통, 눈물이 없는 천국을 알려주신 것이다.[91]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

예수님은 주기도문을 통해 하나님과 성도들의 관계가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임을 밝히셨다.[92] '아버지'라는 단어는 가정 내에서 쓰이는 호칭이다. 지상에 육적 가족이 존재하듯, 하늘에도 영적 가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93][94][95][96] 이는 하나님과 성도가 영적 '가족'으로서 사랑으로 이어진 관계임을 시사한다.

겸손과 섬김

섬네일 |309x309px|유월절 성만찬에 앞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예수님. 몸소 겸손과 섬김의 본을 보이셨다. 예수님이 베풀어주신 겸손과 섬김에 대한 가르침은 성경 곳곳에 기록되어 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 등 비유의 말씀을 들어, 자신을 낮추는 자가 높아진다고 교훈하셨다.[97] 또한 예수님은 친히 본을 보이심으로써 겸손과 섬김의 도를 가르쳐주셨다. 그 대표적인 예가 유월절 성만찬 전에 지킨 세족예식이다. 당시 누군가의 발을 씻겨주는 일은 종처럼 신분이 낮은 사람이 하는 일이었다.[98][99] 그런데 예수님은 제자들의 발을 친히 씻기셨다.[44] 이에 대해 예수님은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고 말씀하셨다.[76]

복음 전파의 사명

예수님은 승천하기 전, 제자들에게 복음 전파의 사명을 남겨주셨다.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고 세 번 물으시고는 베드로가 사랑한다고 대답할 때마다 양으로 비유된 성도들을 돌보라는 가르침을 주셨다.[59] 또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며 복음 전파를 당부하셨다.[20] 이후 사도들은 예수님의 가르침에 따라 새 언약 복음을 각지로 전파하며 영혼 구원에 힘썼다.

같이 보기

각주

  1. 1,0 1,1 1,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 "5547. Christos," Bible Hub, Christos: the Anointed One, Messiah, Christ; Word Origin: from chrió
  3. 가스펠서브, "예수 그리스도",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그리스도'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구약 당시 왕, 선지자, 제사장의 위임식에서 머리에 기름을 부었던 관습에서 유래된 표현)란 뜻의 히브리어 '마쉬아흐'(메시야)의 헬라어 음역으로서, 주 예수가 구약에서 예언된 메시아임을 강조한 성호이자 그분의 신성(神性)을 강조한 거룩한 직분명이다.
  4. "그리스도, 예수",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03, 149쪽, 그리스도는 기름 부으심을 받은 자(행 10:38), 예수는 구원자(마 1:21, 25; 눅 1:31)를 의미
  5. "4899. mashiach," Bible Hub, Word Origin: from mashach, Definition: anointed
  6.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12614000000506?did=NA.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웹사이트=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날짜= (trợ giúp); Chú thích có các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자=, |저널=, |시리즈=, |출판사=, |쪽=, và |연도=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 Sarah Pruitt, "The Ongoing Mystery of Jesus's Face," HISTORY, Feb. 20. 2019., The long-haired, bearded image of Jesus that emerged beginning in the fourth century A.D. was influenced heavily by representations of Greek and Roman gods, particularly the all-powerful Greek god Zeus. At that point, Jesus started to appear in a long robe, seated on a throne (such as in the fifth-century mosaic on the altar of the Santa Pudenziana church in Rome), sometimes with a halo surrounding his head.
  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 안상홍, "제11장 예수님에 대하여",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6, 81쪽, 위의 말씀[사 53:1-2]은 예수님이 세상에 오시기 약 7백 년 전에 이사야 선지자가 장차 7백 년 후에 오실 예수님의 모양을 보여주신 것이다. 과연 예수님의 생활과 환경이 그 시대 사람으로서는 좋게 볼 수 없으리만큼 되어 있었다는 것을 성경으로 볼 수 있다. 그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로서는 예수님 생애의 모든 것이 흠으로 보였다.
  1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5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4. 14,0 14,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5. 15,0 15,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6. 16,0 16,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7. 17,0 17,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Chú thích có các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인용문=|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19. 19,0 19,1 19,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0. 20,0 20,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8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1. 21,0 21,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미가#5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1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6. 안상홍, "제4장 모세와 예수님",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6, 28쪽, 예수님께서도 탄생하실 때에 헤롯왕이 예수님을 죽이고자 하여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남자 중 두 살 아래는 다 죽이게 하였으나(마 2장 16절) 모세가 바로의 궁전 안으로 피난하였던 것같이 예수님께서도 애굽으로 피난하시었다(마 2장 14절, 출 2장 5-10절). 그런고로 사단이 아무리 날뛴다 할지라도 하나님의 예정하신 목적은 변개할 수 없는 것이다.
  2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0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2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2. 32,0 32,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9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3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0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4. 44,0 44,1 44,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4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7. 57,0 57,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59. 59,0 59,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4. 64,0 64,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5. 65,0 65,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6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1. 안상홍, "제2장 3차 7개 절기",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6, 22쪽, 십자가는 모든 절기를 한꺼번에 완성시켰으니 그의 보혈은 유월절 양의 피도 되시고, 제사장들을 위한 속죄 제물인 황송아지의 피도 되시고, 백성들을 위한 속죄 제물인 수염소의 피도 되사 영원하신 속죄 제물이 되셨으니(히 13장 10-12절, 롬 3장 25절) ... 십자가는 영원한 새 언약의 표가 되사 이 세상 끝 날까지 기념을 행하는 것이다(고전 11장 26절, 사 33장 20절, 습 3장 18절).
  7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3. 73,0 73,1 73,2 73,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4. 74,0 74,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6. 76,0 76,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8. 78,0 78,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7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5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8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7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3.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후서#6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인용문= (trợ giúp); Chú thích có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8장. Đã bỏ qua tham số không rõ |제목= (trợ giúp); Chú thích có các tham số trống không rõ: |인용문=|저널= (trợ giúp); |title= trống hay bị thiếu (trợ giúp)
  98. John W. Parker, The Bible Cyclopaedia: Or, Illustrations of the Civil and Natural History of the Sacred Writings, by Reference to the Manners, Customs, Rites, Traditions, Antiquities, and Literature of Eastern Nations, 1843, p.1340, WASHING OF FEET. The orientals used to wash the feet of strangers who came from off a journey, because they commonly walked with their legs bare, their feet being defended by sandals only. (Gen. 18. 4;24. 32; and 43. 24.) This office was commonly performed by servants and slaves. ... Our Saviour after his last supper, gave his final lesson of humility by washing his disciples' feet. (John 13. 5, 6)
  99. Mrs. Humphrey Ward, A Guide to Jewish History, ceremonies, manners, and customs, ancient and modern, in the form of question and answer, by the authoress of "the Child's Guide to Knowledge.", Simpkin Marshall, 1834, p.109, Q. Why is the ceremony of washing the feet so often mentione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A. There were good reasons for this custom; because, then and now, in Eastern countries, they travelled barefoot, or only with sandals, which were open at the top; therefore, the first compliment offered to a stranger on his arrival, was to bring him water to wash his feet; slaves usually performed this office, but Jesus Christ did it to his disciples the night before the Passover, to give them an example of humility.

분류:아버지 하나님 분류:성경 상식